예제로 공부하는 파이썬_Python_기초_자료형, 연산자
1. 자료형이란 무엇인가?
자료형 또는 데이터 타입이라고 부른다.
즉 프로그램 코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여러 종류의 데이터 값을 사용하여 정보처리를 하게 만든다.
파이썬에서 자주 다루는 자료형의 유형 -> 정수, 실수, 문자열, 리스트, 튜플, 집합, 딕셔너리
1. 숫자형 - 정수( int)
2. 숫자형 - 실수(float)
3. 문자형(str)
4. 리스트형(list) *소괄호
5. 튜플(tpl) *중괄호
6. 집합형(set) *대괄호 -> 집합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.
7. 딕셔너리(사전)형(dic)
2. 아스키코드란?
컴퓨터는 내부에서 숫자 또는 문자에 대한 정보처리를 이진수로 처리한다.
이때 문자와 숫자를 대응시켜줘야 하는데, 여러 방법 중 아스키 코드 방식을 사용한다.
영어 알파벳 각각의 문자에 번호를 붙여서 처리한다. -> 번호를 붙일 때 아스키 규약에 따라 붙인다.
예>
대문자 A -> 65(이후부터는 하나씩 증가, B는 66인것임)
소문자 a -> 97
숫자 0 -> 48
엔터(enter) -> 13
아스키코드 0번 -> NULL
3. 아스키코드를 반환하는 함수
print(ord())
ord()함수는 문자를 입력받아 해당 문자에 해당하는 아스키코드 값을 변환(ordinal number)
4. 숫자(아스키코드)를 받아 그에 해당하는 문자를 출력 ->chr()
chr_ = chr()
5. 연산자
(1). 산술연산자 - + - * / // ** %
// - 몫을 구하는 연산자
** - 제곱을 구하는 연산자
% -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
정수형끼리 연산은 결과가 정수형, 실수형끼리 연산의 결과는 실수형, 정수형과 실수형의 연산은 결과가 실수형이 나온다.
(2). 관계연산자
대소비교를 하거나 같은지, 같이 않은지 등 비교를 할 때 사용한다.
>=(크거나 같다)
<=(작거나 같다)
==(같다)
!=(같지 않다)
(3). 논리연산자
and - 양쪽 값이 모두 참인 경우만 참
or - 어느 한쪽만 참이면 참
not - 참이면 거짓으로, 거짓이면 참
(4). 할당연산자
예> a= a+1과 b+=1이 같은 의미
(5). 멤버쉽연산자- in 연산자
명시된 속성이 명시된 객체에 존재하면 true 를 반환. 속성의 이름이나 배열의 인덱스를 뜻하는 문자열 또는 수 값입니다.
(6). 부울연산자 -> true, false 결과가 반환
print(bool(1)) - 파이썬에서 1은 참을 의미, 0은 거짓(False)을 의미
print(bool(None))- 파이썬에서 None값은 거짓을 의미, None이란 말 그대로 아무것도 없다는 뜻. 하나의 타입으로 타입체크를 하면 NoneType으로 나온다.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부울 연산자로 출력하면 항상 거짓(False)을 출력